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블록체인 게임의 수익 구조 분석

by vin82world 2025. 4. 2.
반응형

최근 몇 년 사이 블록체인 기술이 게임 산업과 결합되면서 ‘블록체인 게임’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탄생했습니다. 단순한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실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전 세계 게이머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게임의 수익 구조는 기존 게임과는 매우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블록체인 게임의 수익 구조를 게임사와 유저 관점에서 모두 분석해 보고, 핵심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기존 게임과 블록체인 게임의 수익 구조 차이

기존의 온라인 게임은 대부분 과금형 BM(Business Model)에 기반합니다. 게임사는 캐릭터, 아이템, 스킨 등을 유료로 판매하거나 광고 수익을 통해 수익을 얻고, 유저는 게임 내 소비자 역할에 그칩니다.

반면 블록체인 게임은 유저가 실질적인 자산을 소유하고, 이를 거래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주요 차이점 요약:

  • 기존 게임: 자산은 게임사 소유, 유저는 사용만 가능
  • 블록체인 게임: NFT, 토큰을 통해 유저가 직접 자산 소유 및 거래

즉, 블록체인 게임에서는 유저도 생산자이자 투자자, 거래자로서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으며, 게임사와 유저 모두가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다중 구조가 형성됩니다.

2. 블록체인 게임의 핵심 수익 구조 – NFT, 토큰, DAO, 마켓플레이스

블록체인 게임의 수익 구조는 여러 요소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됩니다. 핵심 요소는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NFT 판매

게임 시작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매해야 하는 캐릭터, 아이템, 장비, 토지 등을 NFT로 발행해 판매합니다. 초기 민팅이나 시즌별 한정 NFT 판매를 통해 게임사는 직접 수익을 창출하며, 2차 거래에서도 로열티 수익을 얻습니다.

② 토큰 이코노미

대부분의 블록체인 게임은 자체 토큰을 발행하여 게임 내 재화로 사용하며, 토큰은 외부 거래소에서 매매 가능해 실질적인 화폐 가치를 지닙니다.

  • 유저 수익: 게임 플레이를 통해 토큰 획득
  • 게임사 수익: 토큰 수수료, 유동성 공급, 스테이킹 보상 조정

단, 토큰 인플레이션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조절하지 못할 경우 게임 생태계가 붕괴될 위험이 있습니다.

③ DAO 운영 수익

일부 블록체인 게임은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을 통해 유저에게 의사결정 권한을 제공합니다. DAO 참여자는 거버넌스 토큰을 통해 투표하거나 정책 제안이 가능하며, 일부는 DAO 운영에 따른 보상 또는 배당을 받기도 합니다.

④ 마켓플레이스 거래 수수료

유저 간 NFT 거래가 발생할 때, 게임사는 중개 수수료를 수익으로 확보합니다. 예: 2차 NFT 거래 시 5~10%의 거래 수수료 + 로열티 = 게임사의 지속 수익 모델

마켓플레이스는 게임 내에 내장된 자체 플랫폼이거나 Opensea 같은 외부 플랫폼과 연동되기도 합니다.

3. 유저 입장에서의 수익 방식 – Play to Earn의 현실과 미래

블록체인 게임에서 유저는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경제활동의 주체로 참여합니다. 대표적인 수익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퀘스트·전투 수행 → 토큰 획득 → 거래소 매도 → 현금화
  • NFT 아이템 업그레이드 → 희소성 확보 → 2차 판매
  • 게임 자산 임대 또는 대리플레이로 수익 창출

예를 들어 Axie Infinity의 경우, 유저는 Axie(캐릭터)를 NFT로 구매해 게임을 플레이하고, SLP라는 토큰을 획득해 실제 수익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이 필요합니다:

  • 토큰 발행량의 체계적 조절 (인플레이션 관리)
  • 단순 ‘벌기 위한 플레이’에서 벗어나 게임성 자체의 재미 확보
  • 생태계 참여자 간 보상 구조의 균형

최근에는 Play and Earn(게임이 우선, 수익은 부가적) 구조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 방향성이야말로 블록체인 게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입니다.

결론: 블록체인 게임은 단순 수익 모델이 아닌 하나의 경제 시스템

블록체인 게임은 이제 ‘게임’을 넘어서 디지털 경제 시스템의 축소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토큰, NFT, DAO, 유저 커뮤니티가 연결된 구조 속에서 유저와 개발사 모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참여형 생태계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죠.

하지만 동시에 투기성 프로젝트와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구분하는 안목도 필요합니다. 단기 수익보다 장기 가치, 화려한 홍보보다 유저 중심의 구조가 있는지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블록체인 게임의 미래는 수익 그 자체보다 ‘게임 안에서의 경제 설계’에 달려 있습니다. 투자가 아닌 이해부터 시작하는 것이 진짜 전략입니다.

반응형